AI prompts
base on # 미션 - 자동차 경주
## 🔍 진행 방식
- 미션은 **기능 요구 사항, 프로그래밍 요구 사항, 과제 진행 요구 사항**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.
- 세 개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노력한다. 특히 기능을 구현하기 전에 기능 목록을 만들고, 기능 단위로 커밋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.
- 기능 요구 사항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스스로 판단하여 구현한다.
## 📮 미션 제출 방법
- 미션 구현을 완료한 후 GitHub을 통해 제출해야 한다.
- GitHub을 활용한 제출 방법은 [프리코스 과제 제출](https://github.com/woowacourse/woowacourse-docs/tree/master/precourse) 문서를 참고해 제출한다.
- GitHub에 미션을 제출한 후 [우아한테크코스 지원](https://apply.techcourse.co.kr) 사이트에 접속하여 프리코스 과제를 제출한다.
- 자세한 방법은 [제출 가이드](https://github.com/woowacourse/woowacourse-docs/tree/master/precourse#제출-가이드) 참고
- **Pull Request만 보내고 지원 플랫폼에서 과제를 제출하지 않으면 최종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되니 주의한다.**
## 🚨 과제 제출 전 체크 리스트 - 0점 방지
- 기능 구현을 모두 정상적으로 했더라도 **요구 사항에 명시된 출력값 형식을 지키지 않을 경우 0점으로 처리**한다.
- 기능 구현을 완료한 뒤 아래 가이드에 따라 테스트를 실행했을 때 모든 테스트가 성공하는지 확인한다.
- **테스트가 실패할 경우 0점으로 처리**되므로, 반드시 확인 후 제출한다.
### 테스트 실행 가이드
- 터미널에서 `java -version`을 실행하여 Java 버전이 17인지 확인한다.
Eclipse 또는 IntelliJ IDEA와 같은 IDE에서 Java 17로 실행되는지 확인한다.
- 터미널에서 Mac 또는 Linux 사용자의 경우 `./gradlew clean test` 명령을 실행하고,
Windows 사용자의 경우 `gradlew.bat clean test` 또는 `./gradlew.bat clean test` 명령을 실행할 때 모든 테스트가 아래와 같이 통과하는지 확인한다.
```
BUILD SUCCESSFUL in 0s
```
---
## 🚀 기능 요구 사항
초간단 자동차 경주 게임을 구현한다.
- 주어진 횟수 동안 n대의 자동차는 전진 또는 멈출 수 있다.
- 각 자동차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. 전진하는 자동차를 출력할 때 자동차 이름을 같이 출력한다.
- 자동차 이름은 쉼표(,)를 기준으로 구분하며 이름은 5자 이하만 가능하다.
- 사용자는 몇 번의 이동을 할 것인지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.
- 전진하는 조건은 0에서 9 사이에서 무작위 값을 구한 후 무작위 값이 4 이상일 경우이다.
- 자동차 경주 게임을 완료한 후 누가 우승했는지를 알려준다. 우승자는 한 명 이상일 수 있다.
- 우승자가 여러 명일 경우 쉼표(,)를 이용하여 구분한다.
- 사용자가 잘못된 값을 입력할 경우 `IllegalArgumentException`을 발생시킨 후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되어야 한다.
### 입출력 요구 사항
#### 입력
- 경주 할 자동차 이름(이름은 쉼표(,) 기준으로 구분)
```
pobi,woni,jun
```
- 시도할 회수
```
5
```
#### 출력
- 각 차수별 실행 결과
```
pobi : --
woni : ----
jun : ---
```
- 단독 우승자 안내 문구
```
최종 우승자 : pobi
```
- 공동 우승자 안내 문구
```
최종 우승자 : pobi, jun
```
#### 실행 결과 예시
```
경주할 자동차 이름을 입력하세요.(이름은 쉼표(,) 기준으로 구분)
pobi,woni,jun
시도할 회수는 몇회인가요?
5
실행 결과
pobi : -
woni :
jun : -
pobi : --
woni : -
jun : --
pobi : ---
woni : --
jun : ---
pobi : ----
woni : ---
jun : ----
pobi : -----
woni : ----
jun : -----
최종 우승자 : pobi, jun
```
---
## 🎯 프로그래밍 요구 사항
- JDK 17 버전에서 실행 가능해야 한다. **JDK 17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0점 처리한다.**
- 프로그램 실행의 시작점은 `Application`의 `main()`이다.
- `build.gradle` 파일을 변경할 수 없고,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는다.
- [Java 코드 컨벤션](https://github.com/woowacourse/woowacourse-docs/tree/master/styleguide/java) 가이드를 준수하며 프로그래밍한다.
- 프로그램 종료 시 `System.exit()`를 호출하지 않는다.
- 프로그램 구현이 완료되면 `ApplicationTest`의 모든 테스트가 성공해야 한다. **테스트가 실패할 경우 0점 처리한다.**
- 프로그래밍 요구 사항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파일, 패키지 이름을 수정하거나 이동하지 않는다.
### 추가된 요구 사항
- indent(인덴트, 들여쓰기) depth를 3이 넘지 않도록 구현한다. 2까지만 허용한다.
- 예를 들어 while문 안에 if문이 있으면 들여쓰기는 2이다.
- 힌트: indent(인덴트, 들여쓰기) depth를 줄이는 좋은 방법은 함수(또는 메서드)를 분리하면 된다.
- 3항 연산자를 쓰지 않는다.
- 함수(또는 메서드)가 한 가지 일만 하도록 최대한 작게 만들어라.
- JUnit 5와 AssertJ를 이용하여 본인이 정리한 기능 목록이 정상 동작함을 테스트 코드로 확인한다.
- 테스트 도구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다면 `test/java/study`를 참고하여 학습한 후 테스트를 구현한다.
### 라이브러리
- JDK에서 제공하는 Random 및 Scanner API 대신 `camp.nextstep.edu.missionutils`에서 제공하는 `Randoms` 및 `Console` API를 사용하여 구현해야 한다.
- Random 값 추출은 `camp.nextstep.edu.missionutils.Randoms`의 `pickNumberInRange()`를 활용한다.
- 사용자가 입력하는 값은 `camp.nextstep.edu.missionutils.Console`의 `readLine()`을 활용한다.
#### 사용 예시
- 0에서 9까지의 정수 중 한 개의 정수 반환
```java
Randoms.pickNumberInRange(0,9);
```
---
## ✏️ 과제 진행 요구 사항
- 미션은 [java-racingcar-6](https://github.com/woowacourse-precourse/java-racingcar-6) 저장소를 Fork & Clone해 시작한다.
- **기능을 구현하기 전 `docs/README.md`에 구현할 기능 목록을 정리**해 추가한다.
- **Git의 커밋 단위는 앞 단계에서 `docs/README.md`에 정리한 기능 목록 단위**로 추가한다.
- [커밋 메시지 컨벤션](https://gist.github.com/stephenparish/9941e89d80e2bc58a153) 가이드를 참고해 커밋 메시지를 작성한다.
- 과제 진행 및 제출 방법은 [프리코스 과제 제출](https://github.com/woowacourse/woowacourse-docs/tree/master/precourse) 문서를 참고한다.
", Assign "at most 3 tags" to the expected json: {"id":"4337","tags":[]} "only from the tags list I provide: [{"id":77,"name":"3d"},{"id":89,"name":"agent"},{"id":17,"name":"ai"},{"id":54,"name":"algorithm"},{"id":24,"name":"api"},{"id":44,"name":"authentication"},{"id":3,"name":"aws"},{"id":27,"name":"backend"},{"id":60,"name":"benchmark"},{"id":72,"name":"best-practices"},{"id":39,"name":"bitcoin"},{"id":37,"name":"blockchain"},{"id":1,"name":"blog"},{"id":45,"name":"bundler"},{"id":58,"name":"cache"},{"id":21,"name":"chat"},{"id":49,"name":"cicd"},{"id":4,"name":"cli"},{"id":64,"name":"cloud-native"},{"id":48,"name":"cms"},{"id":61,"name":"compiler"},{"id":68,"name":"containerization"},{"id":92,"name":"crm"},{"id":34,"name":"data"},{"id":47,"name":"database"},{"id":8,"name":"declarative-gui "},{"id":9,"name":"deploy-tool"},{"id":53,"name":"desktop-app"},{"id":6,"name":"dev-exp-lib"},{"id":59,"name":"dev-tool"},{"id":13,"name":"ecommerce"},{"id":26,"name":"editor"},{"id":66,"name":"emulator"},{"id":62,"name":"filesystem"},{"id":80,"name":"finance"},{"id":15,"name":"firmware"},{"id":73,"name":"for-fun"},{"id":2,"name":"framework"},{"id":11,"name":"frontend"},{"id":22,"name":"game"},{"id":81,"name":"game-engine "},{"id":23,"name":"graphql"},{"id":84,"name":"gui"},{"id":91,"name":"http"},{"id":5,"name":"http-client"},{"id":51,"name":"iac"},{"id":30,"name":"ide"},{"id":78,"name":"iot"},{"id":40,"name":"json"},{"id":83,"name":"julian"},{"id":38,"name":"k8s"},{"id":31,"name":"language"},{"id":10,"name":"learning-resource"},{"id":33,"name":"lib"},{"id":41,"name":"linter"},{"id":28,"name":"lms"},{"id":16,"name":"logging"},{"id":76,"name":"low-code"},{"id":90,"name":"message-queue"},{"id":42,"name":"mobile-app"},{"id":18,"name":"monitoring"},{"id":36,"name":"networking"},{"id":7,"name":"node-version"},{"id":55,"name":"nosql"},{"id":57,"name":"observability"},{"id":46,"name":"orm"},{"id":52,"name":"os"},{"id":14,"name":"parser"},{"id":74,"name":"react"},{"id":82,"name":"real-time"},{"id":56,"name":"robot"},{"id":65,"name":"runtime"},{"id":32,"name":"sdk"},{"id":71,"name":"search"},{"id":63,"name":"secrets"},{"id":25,"name":"security"},{"id":85,"name":"server"},{"id":86,"name":"serverless"},{"id":70,"name":"storage"},{"id":75,"name":"system-design"},{"id":79,"name":"terminal"},{"id":29,"name":"testing"},{"id":12,"name":"ui"},{"id":50,"name":"ux"},{"id":88,"name":"video"},{"id":20,"name":"web-app"},{"id":35,"name":"web-server"},{"id":43,"name":"webassembly"},{"id":69,"name":"workflow"},{"id":87,"name":"yaml"}]" returns me the "expected json"